국민연금의 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80세까지 4억원을 받는 비결은?

안녕하세요. 4대보험이 적용되는 직장인과 적용되지 않고 지역가입자로 준비하는 프리랜서분들 모두 납부하는 것은 연금입니다.
딱히 노후준비를 하지 않는 분들에게는 희망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과 얼마까지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금 이해부터 시작. 좋은 걸 알아야 내는 거죠.

▣개념연금제도는 국민의 노후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1988년 1월 1일 10인 이상 근로자가 일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처음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단계적으로 대상을 확대해 나가 99년 4월 1일 전 국민이 국민연금에 가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의무가입으로 한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노후준비를 못하는 분들을 위해 나이가 들어 퇴직 후 소득이 없을 때 기초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사회적 배려제도로 볼 수 있습니다.

▣언제까지 내고 언제부터 받습니까 국민연금은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이면 가입 대상이 됩니다.
최소 가입기간은 10년이고, 이 기간을 충족하면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노령연금은 1952년생까지는 60세에 수령. 1953~56년생은 61세, 57~60년생은 62세, 61세~64년생은 63세, 65년부터 68년생은 64세입니다.
1969년생 이후 출생자는 65세부터 노령연금을 받도록 1998년 말 법이 개정됐습니다.
이렇게 받는 연금액은 가입기간 및 가입 중 평균 소득액, 전체 가입자의 평균 소득액에 따라 계산됩니다.
21년도 10월 기준 20년 이상 가입하신 분들이 받게 되는 노령연금 수령액은 월 94만원입니다.

나는 얼마 나오는데? 제 연금을 알아보는 방법은

▣연금 수령액 조회 국민연금 사이트를 방문하여 인증 없이 간편하게 예상연금을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좀 더 정확하게 확인하고 싶다면 현재 본인이 납부한 금액을 모두 알아야 하기 때문에 공인 인증을 한 후에 연금을 알아봐야 합니다.
국민연금과 개인 및 퇴직, 주택연금 정보를 한 번에 확인하고 싶다면 중앙노후준비지원센터-재무설계-내연금 검색을 통해 신청 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의무적으로 낸다고 세금이라고 생각하면 안 돼요. 연금은 사회보장제도의 하나로 제가 낸 만큼 노후까지 연금으로 돌려받는 것입니다.
자금적으로 여유가 있으면 적다고 느낄 수 있고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따로 소득이 끊기는 노후에 단돈 30만원도 큰돈이 됩니다.

실제로 현재 67세인 A씨는 88년도 1월 처음 국민연금에 가입해 2016년까지 30년간 약 8,720만원의 보험료를 납부했습니다.
그 후 21년도 6월부터 매월 236만7,710원의 연금을 수령하고 있다고 합니다.
1년이면 2,841만원이지만 기대수명 80세까지 14년간 국민연금을 받는다고 생각했을 때 총 수급액은 약 3억9,816만원이 되는 겁니다.
이것은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지 않은 금액입니다.
실제로 낸 보험료보다 5배 정도 더 받게 되는 겁니다.
물가 연동을 하면 연금액은 더 오를 거예요.

2055년 고갈 우려가 있다.
막을 수 있을까

2055년이면 국회 예산정책처가 예상한 국민연금 고갈 시점입니다.
39년부터는 은퇴자에게 지급하는 연금 지출이 수입보다 많아지는 시기가 되면서 그동안 쌓아온 적금을 잊어버릴 시점이 되는 것입니다.
인구는 적어지고 경제성장 속도는 느리고 고갈 시기는 점점 빨라집니다.

현재 국민연금 구조가 유지되면 2020년도 740조 국민연금 적립금은 38년도에 1072조로 정점을 찍은 뒤부터는 총소하게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감소해서 2055년이 되면 1년 동안 116조 4천억의 적자를 내고 적립금은 마이너스 105조가 된다고 합니다.
예상대로 진행되면 그때 가입자는 소득의 24.6%의 보험료를 더 내야 하는 상황이 되고 맙니다.
현재 가입자는 버는 월 소득의 9% 정도만 보험료로 내고 있습니다.

▣고갈을 막기 위해서는 전문가들은 보험료율을 올려야 한다는 생각에 모두 동의하는 분위기입니다.
1988년도 도입 당시에는 3%였습니다.
이후 5년 단위로 3%씩 올라 98년도에 9%로 설계한 뒤 20년 넘게 변화가 없었습니다.
한국의 보험료율은 OECD 평균 22.9%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낮은 수준입니다.
절대 비싼 건 아니라는 거죠. 결과적으로 보험료율을 조금씩 상승하는 방향으로 흘러갈 확률이 상당히 높아 보이네요.

기타 질문 사항

▣국민연금 수급자인데 기초연금을 못 받나요?65세 이상, 소득 하위 70% 수급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동시 수급이 가능합니다.
다만 국민연금의 급여액에 따라 기초연금이 감액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국민연금에서 대출은 받을 수 없나요?2012년 5월부터 연금 수급자를 대상으로 노후 긴급 자금 대출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전세보증금, 의료비, 배우자 장제비, 재해복구비 긴급자금이 필요한 경우 한도 내에서 대출이 가능합니다.
대출금액은 연간 연금 수령액의 2배 이내 실용비용이며 최고 1천만원 한도까지입니다.
대출이자는 5년 만기 국고채 수익률 -22년도 3분기 연 3.28% 분기별 변동금리 적용 대출상환은 5년간 원금균등분할상환-미치, 거치 1년 또는 2년 중 선택, 최장 7년 지금까지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를 하는 방법과 실제로 얼마나 받을 수 있고 고갈대책은 어떠하며 연금과 관련된 가장 많은 질문 2가지를 정리해 알아봤습니다.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