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급 공무원 합격후기] 지방직 간호


    2021년 지방 8급 간호 시험(일반) 합격.

    1. 시험기간

    2020.08.01 ~ 2021.06.04 (약 10개월)

    안녕하세요. 저는 지역 8학년 간호 학생입니다.
    예전에는 시험 공부를 하면서 임시 논문을 쓰는 상상을 하며 의지를 다졌는데 막상 쓰고 보니 새롭네요. 이번에는 합격선이 생각보다 낮아서 합격한 것 같아서 좀 부끄럽지만 최대한 기억해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적어봅니다.
    시험 초반에 감이 안 잡히네요.

    -- 수평형 디스플레이 광고 -->

    2. 코스 시작 전 기초

    2020년에는 현지어, 영어, 한국사만 초기에 풀었습니다.
    국어 50점, 영문 45점, 국사 45점은 풀 문제가 없을 정도였다.
    이렇게 많이 될 줄은 몰랐기에 충격을 받고 바로 단기기술자 프리카드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특히 마지막 토익 점수가 910점이었기 때문에 영어에 대한 걱정은 없었지만 토익과 대중영어는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3. 과목별 공부 방법

    (한국어 – 이선재)

    초심자를 위한 입문특강(8월) -> 올인원(8월-12월) -> 선행연구실록(12월-3월) -> 같은 종류의 나침반을 가진 모고(4월-) 꼭 읽어야겠습니다.
    문제를 풀고 강의를 들었습니다.
    2021년 강의는 ‘매일한국어’가 부족해서 2020년 강의도 들었습니다.
    처음에는 밑바닥까지 갔기 때문에 “매일한국어”를 풀어도 다 틀렸고, 선생님이 “읽어야지”라고 제시한 시간도 황당해서 시간도 모자랐고 리얼리티도 없었다.
    문제. 처음에는 질문이 다 틀리고 너무 어려워서 많이 답답했는데 시간과 반복이 답인 줄 알았고 묵묵히 강의를 듣고 나니 한 달이 지나니 어느 정도 이해가 가기 시작했습니다.
    “매일한국어”의 문법 부분이 정말 반복적이어서 시즌별로 풀어가면서 점점 쉬워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마지막 순간에 나는 선재 선생님이 그 주제에 대해 뭐라고 말할지 예상할 수 있었다.
    나 혼자 산다’도 반 정도 들었는데 시간 안에 풀 수 있게 됐다.
    하루가 끝나면 남은 시간이 충분했습니다.

    ‘올인원’을 들었을 때는 머릿속을 맴도는 것처럼 문법이 생각나지 않았는데, ‘매일한국어’를 반복하다 보니 감이 오고 과거형을 풀면서 패턴을 보고 쉽게 풀었습니다.
    과거를 읽으면서 혼자 다 외웠어요. 나침판을 풀면 계속 부딪혀서 사소한 부분이었다.

    문헌에 관해서는 All-in-One을 들으면서 문제의 스타일을 알 수 있었고, 과거를 읽으면서 기억하고 싶은 것을 메모했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문헌이 너무 방대해서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매일한국어’, ‘나침반’, ‘같은 형모고’ 같은 문제를 다 풀면서 예전에 나온 것도 익숙해졌고, 모르는 작품도 많이 풀면서 그냥 문제 푸는 법을 배웠다.

    독해력은 제가 가장 자신 없는 부분이었습니다.
    문제만 풀었습니다.
    하루가 끝나면 풀 것이 없어서 그냥 전년도 책을 읽고 또 읽고, 전년도 나침반과 같은 패턴으로 풀었습니다.
    약 1~2주 동안 미친 듯이 읽은 후, 나는 그것에 대한 느낌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다음과 같이 암기해야 할 것만 눈에 붙이면 된다는 생각으로 계속 암기 앱을 살펴보았습니다.
    나. 한자, 고전, 문법. 3개월 정도 멍하니 바라보다가 4개월째부터 외우기 시작했다.

    -- 사각형 디스플레이 광고 -->

    (영어 – 이동)

    100점 핵심문법(8월) -> 올인원(8월-12월) -> 전작(12월-4월) -> 몰입모고(5월-)’ 풀었습니다.
    동이보카 3000으로 단어를 외우고 18까지 세고 몇 번을 읽었는지 셀 수 없을 정도로 반복했다.
    학창시절에도 영어 단어가 기억나지 않아 입시 때 코를 크게 다쳤습니다.
    하프모고 초반에는 10문제 중 2~3문제를 맞추는 것이 평균이었는데, 시험기간이 한 달 남짓 남은 상황에서 10문제를 맞추지 못해 아쉬웠다.

    영어는 11월까지 문법과 독해 강의만 들었고, 12월부터는 강의를 듣지 않고 혼자 공부했습니다.
    영어를 배우기에 가장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문제만 풀고 오답만 줘서 마음이 놓였다.

    영어는 무지하게만 많은 문제를 해결합니다.
    문제를 풀다가 반 친구의 문제 패턴을 보고 다른 선생님들에게 문제집을 사서 풀었습니다.
    심우철의 독해력 1000과 같은 모델인 아들 진숙 선생님의 선생님이 해결해 주셨습니다.

    (코리안스토리 – 문동균)

    한국역사산업진흥원 자유이용권을 받기 전에는 다른 학원 선생님들의 강의가 무료여서 들어봤습니다.
    이후 올인원과 판서노트 강의를 들으며 판서노트를 읽으면서 한국사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외웠다.
    개인적으로 그 부분이 좀 아쉬웠는데 당시 한국사에 대해 잘 몰라서 주로 외웠는데 기출문제만 풀었어야 했다.
    그래서 공책 10회를 읽으면서 외웠고 과거는 2회만 읽었다.
    개인적으로 구독자 수를 늘리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들어가면서 기억력이 좋아졌습니다.
    지난 4월 국사능력시험과 국가직무고사를 치른 뒤 위기감을 느껴 문동균 선생님의 반모고 풀이에 나섰다.
    진작에 해결했어야 했는데. 시험 직전까지만 해도 한국사가 가장 걱정되는 과목이었다.

    (전공 – 지역사회간호, 간호관리 – 민경애)

    나는 거의 만점에 가까운 점수를 받았기 때문에 전공에 크게 신경쓰지 않았다.
    2021년판 핵심도서가 나올 때까지 전공은 쳐다보지도 않았다.
    토지 등기가 공표되고 전공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저는 12월에 이론 공부를 시작했고 2월에 과거 시험 문제를 풀기 시작했습니다.
    시험 전까지는 과거만 읽었다.

    -- 수평형 디스플레이 광고 -->

    4. 종료

    전반적으로 저는 문제 해결을 위한 “느낌”을 배우는 데 집중했습니다.
    그래서인지 시험이 다가올수록 시험 당일 ‘감’을 잃어버리면 어쩌나 걱정이 되기도 했다.
    그래도 이 전략은 시험 초반에 올인원 등의 도움을 받았기 때문에 효과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대학시절에는 내 속도로 공부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늘 하던 대로 계속 하다가 4월에 국가고시를 치른 후 조금 불안해져서 과제를 무작위로 하여 암기하고 생각없이 공부했다.
    시험 한 달 전부터 스트레스가 극에 달했다.

    공부하다가 공부한 시간을 기록하고 공부하는 앱을 다운받았습니다.
    작년 8월부터 올해 3월까지는 평균 8시간, 4월에는 평균 10시간, 5월에는 평균 11시간 공부했습니다.
    처음에는 걸어서 20분 거리에 있는 학교 도서관에서 공부했는데 코로나 연장이 계속 나와서 1월부터 걸어서 5분 거리에 있는 열람실에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근접성은 최고였습니다.

    게시판에 뛰어들기 전에는 병원에서 일을 했는데, 그 당시 굉장히 화상을 입어서 공부를 정말 좋아했어요. 그런데 시험 한 달 전부터 압박감 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어요. 공부할 때 가장 좋은 것은 자신에게 맞는 길을 찾아 아무 생각 없이 책을 읽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