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임당님의 유튜브[1년중 10일 매매하는 직장투자법-박민수]편을 듣고 종목선정방법에 따라 삼성전자 주식자료 분석해보기

금요일에 주식 계좌를 개설하고 바로 저녁에 주식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주식 공부라고 하면 좀 거창하지만 신사임당님의 유튜브[1년 중 10일 매매하는 직장투자법-박민수] 편을 시청하면서 주식을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 메모를 하면서 들었습니다.
박민수 씨는 20년 동안 직장을 다니면서 주식을 선택하고 투자하는 비결을 공개했습니다.
필명으로 샌드타이거 샤크라고 하셔서 주식관련 책을 무려 2권이나 내셨네요.

테마주 투자(한 권으로 끝남) 저자 박민수 출판 길벗 출간 2020.04.15

테마주 투자(한 권으로 끝남) 저자 박민수 출판 길벗 출간 2020.04.15

주식공부 5일완성 저자 박민수출판 한국경제신문 i출시 2018.09.28.

오늘은 샌드타이거 샤크님의 주식선택 방법 체크사항 10단계를 활용하여 삼성전자 주식에 대한 자료를 찾아보겠습니다.
주식에 대해서 잘 모르는 주린이는 무조건 초우량주를 사면 된다고 많이 들었고, 요즘 삼성전자 주식 관련 기사도 많이 나오고 관심을 갖고 있는 주식이기 때문에 공식을 실제로 대입해 보는 차원에서 삼성전자 주식 자료를 찾아보는 연습을 해보겠습니다.
모든 자료는 네이버에서 검색할 수 있다고 하셨어요. ^^ 1단계로 3년간의 당기순이익을 확인하고 한 번이라도 적자가 난 경우 제외합니다.
네이버 금융에서 삼성전자 주식을 검색하시면 [종목분석] – [재무제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의 당기순이익은 각각 42조 44조 21조네요.

2단계 회사채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즉 CB(전환사채)나 BW(신주인수권사채)가 있으면 탈락합니다.
거래소 공지 사이트 및 네이버에서 검색 가능합니다.
네이버-금융[전자공시]에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DART 자료가 모두 첨부되어 있어 확인해 보았습니다.
회사채는 있지만 전환사채는 아닙니다.

3단계 PER를 확인합니다.
PER가 기존 실적으로 볼 때 30인데 뉴스 등을 확인해서 예전보다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면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유상증자는 통상 호재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PER는 현재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현재 주가가 저평가돼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
주당순이익(EPS-Earning Per Share)은 당기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2020년 6월 기준 EPS로 계산된 삼성전자의 PER은 17.4로 확인됩니다.

4단계 재무비율을 확인합니다.
그 중 1) 부채비율(부채/자기자본)이 100%이상이면 별로입니다.
2) 당좌비율(당좌자산/유동부채)이 100% 미만이면 보지 않습니다.
유보율이 있으면 좋겠어요. 무상 증가가 가능해서요.네이버금융→종목분석→투자지표→안정성으로 2019년 12월 말 기준 삼성전자 부채비율을 34.12%, 당좌비율은 233.57%로 확인되네요. 말씀하신대로 네이버에 다 있네요.

유보율은 기업의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을 합한 전체잉여금을 납입자본금으로 나눈 비율로(이익잉여금+자본잉여금)/납입자본금*100이다.
유보율은 확인할 수 없지만 재무제표 데이터를 확인하고 계산해보니 28900인데 정확히 계산되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유보율은 기업의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을 합한 전체잉여금을 납입자본금으로 나눈 비율로(이익잉여금+자본잉여금)/납입자본금*100이다.
유보율은 확인할 수 없지만 재무제표 데이터를 확인하고 계산해보니 28900인데 정확히 계산되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6단계 배당 여부를 확인합니다.
초보자는 배당주는 회사 주식을 사는 것을 추천합니다.
삼성전자 주식은 2019년 배당률이 2.55%로 보입니다.
배당률만 봐도 현재 예금금리보다 훨씬 높네요^^

7단계 최대주주 지분율을 보겠습니다.
최대주주 지분율이 높으면 상대적으로 좋습니다.
왜냐하면 배당을 많이 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대주주가 자주 바뀌면 탈락입니다.
그러나 지분율이 낮고 안정적일 경우 경영권 문제로 호재가 될 수도 있습니다.
최대주주는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으로 21.2%를 보유하고 있으며 공시대상 기간 중 최대주주가 변동한 경우는 없다고 주주에 관한 사항에 적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겠네요.

8단계 매출채권회전율과 재고자산회전율을 확인합니다.
매출채권은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재고자산 회전율을 갑자기 늘린 것은 아닌지 확인합니다.
매출채권회전율은 매출채권 회수기간으로 표시되기도 하는데, 이는 365일을 매출채권 회전율로 나눈 것으로 매출채권을 회수하는 데 평균 며칠이 걸리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재고자산회전율=연매출액/평균재고자산으로 계산되는데 검색되는 자료가 아니라서 다시 계산해봐야겠네요.9단계 PBR은 시가총액/자기자본에서 참고단계로 절대적 기준이 아니라 1배 이하면 저평가로 보고 2배 이상이면 탈락이고 이왕이면 낮은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1.44로 확인되네요.

스텝 10은 매력적이어야 합니다.
언제 사고 팔 것인지, 추가 구매는 언제 할 것인지 결정합니다.
전체 단계의 5%를 차지한다는 이 부분이 가장 어려울 것 같습니다.
샌드타이거 샤크님은 10% 내지 15%의 손실이 나면 추가 매수를 함으로써 인수단가를 낮춘다고 합니다.
그리고 제가 구입하는 이유는 3가지가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신사임당님과 샌드타이거샤크님의 유튜브를 듣고 삼성전자 주식의 자료를 한번 찾아보는 쥬린 한번 가보자는 주식공부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