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은 어딘가에 이상이 있거나 고장이 났을 경우 계기판을 이용해 운전자에게 이상이 있음을 알려줍니다.
하지만 자동차 경고등의 종류가 너무 많아서 차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은 무엇이 고장인지 잘 모르고 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 오늘 포스팅을 통해 차량의 경고등의 종류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차를 가지고 계신 분이라면 꼭 알아야 할 매우 유용한 상식을 먼저 알려드리겠지만 자동차 계기판 경고등 종류의 색상으로 분류해보면 크게 빨간색, 주황색, 녹색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각 색상별로 의미하는 바가 다릅니다.
자동차 계기판 표시 녹색의 경우 지금 내 차에 있는 기능이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대표적으로 전조등, 깜박이, 오토홀드 등이 녹색에 해당되고 주황색은 지금 차에 이상이 발생했는데 일단 주행은 해도 되지만 최대한 빨리 점검을 받으라는 의미에서 마지막으로 빨간색은 현재 차량에 심각한 고장 또는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으니 운행을 멈추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빨간색일 경우 차량 고장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안전이 위협받을 때도 점등된다고 했는데 대표적으로 안전벨트 미착용이 이 경우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자동차 경고등의 종류가 너무 많기 때문에 전부 기억할 수는 없기 때문에 색상으로 위험도를 판단하여 주행 여부를 판단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동차 계기판 경고등, 먼저 위험하니까 운행을 중단하라는 신호인 빨간색을 먼저 알아보는데요, 위에 첨부한 사진을 보면 수도꼭지에서 물이 떨어지는 모양을 하고 있죠? 이는 엔진오일 압력경고등으로 엔진오일이 부족해 유압이 낮아지거나 센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 켜지는 것으로 오일을 보충했는데 꺼지지 않을 경우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차는 어딘가에 고장이 발생하면 계기판 표시를 통해 운전자에게 알려주는데 그 종류가 너무 많은 것 같다.
blog.naver.com
오늘의 포스팅은 차량 경고등의 종류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포스팅으로 각각의 상세설명을 별도로 포스팅한 자료를 첨부하오니 각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빨간색 두 번째는 핸들형 그림에 깜짝 마크가 있는 것으로 전동 스티어링 휠 시스템의 간단한 말로 핸들 시스템에 이상이 생겼을 때 점등함으로써 자칫 핸들 조작이 원활하지 않아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즉시 점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차종에 따라 핸들 깜짝 마크 형태가 아니라 EPS라고 표시되는 것도 있지만, 같은 의미에서 운행을 멈추고 즉시 점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빨간색 배터리 모양의 그림은 전압이 낮거나 발전기 이상으로 충전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점등되는데 차가 움직이려면 전기가 필요하고 발전기 이전에는 제너레이터처럼 불린 발전기 이상으로 충전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점등되며 자칫 주행 중 시동이 꺼질 수 있어 위험하므로 즉시 점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위의 사진을 보면 사람 모양으로 태양이 떠 있는 그림이 보이시죠? 이것은 에어백 시스템에 이상이 있을 때 켜지지만 차종에 따라 AIRBAG처럼 나타나는 차종도 있고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점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겉보기에는 온도계 또는 범선과 비슷한 것으로 이는 냉각수 부족 또는 냉각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올라갔을 때 켜지는 것으로 만약 이 그림이 나오면 바로 주행을 멈추고 냉각수를 점검해야 합니다.
만약 주행을 계속할 경우 엔진에 열이 발생하여 심각한 고장으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바로 주행을 멈추고 현장에서 해결할 수 없는 경우에는 견인하여 정비소에 입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에는 수많은 경고등이 있지만 일반인들이 다 알기는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몇 가지 경… blog.naver.com
냉각수 이상에 대해 설명해보니 포스팅이 길어지므로 역시 따로 정리한 포스팅을 첨부하였으니 위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깜짝 마크 PBRAKE라고 표시되는 것은 브레이크 고장 또는 사이드 브레이크가 올라갔을 때 점등하는 것으로 사이드 브레이크를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점등하면 브레이크에 이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정비소에서 점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전자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경우 EPB 이렇게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 이 또한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의 이상이 있음을 정비소에 방문하셔서 점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자동차 계기판 표시 차량 이상 신호 적색 마지막은 연료 필터 수분이 많을 경우 점등하는 것으로, 이것은 디젤 차량에서만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디젤차는 연료인 경유에 수분이 있으면 안 되기 때문에 필터로 걸러주지만 이 필터에 수분이 많을 경우 켜지고, 계속 주행할 경우 시동이 꺼질 수도 있어 연료계통의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행해서는 안 됩니다.
차량 계기판 경고등의 종류는 주황색(노란색)을 조사하는데 주황색의 경우 위에 첨부한 헬리콥터나 수도꼭지 모양과 비슷한 그림으로 이는 엔진 경고등이라 부르며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주황색입니다.
엔진제어장치의 연료공급장치를 비롯해 수많은 원인으로 점등되며 엔진경고 등의 경우 스캐너라는 장비를 이용해 진단하기 전까지는 원인을 알 수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다행히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주황색이기 때문에 주행은 해도 되고, 빨리 정비소를 방문하여 진단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자동차는 수많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딘가에 고장이 발생하면 계기판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려줍니다…. blog.naver.com
엔진 경고 등 원인이 매우 다양하지만 자세한 내용은 위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렌지 색상의 두 번째는 말굽을 닮아 깜짝 마크 모양이 함께 떠오르는 것으로, 이는 타이어 공기압이 부족할 경우 점등됩니다.
추운 겨울에 자주 켜지고 만약 이 그림이 나온다면 타이어 공기압이 부족하다는 의미에서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하는 것이 타이어 펑크가 발생하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펑크가 나지 않았다면 역시 주행은 해도 되겠네요.그리고 타이어 공기압 보충을 해주면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지 말고 펑크의 유무를 반드시 확인하십시오.
얼마 전 날씨가 갑자기 추워진 날 친한 언니가 아침 일찍 급한 목소리로 전화가 온 적이 있습니다.
blog.naver.com
앞서 보신 타이어 공기압도 별도로 정리한 포스팅을 첨부하였으니 위의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동차 계기판의 경고등 종류 상의 그림은 ABS라고 적혀 있기 때문에 바로 알 수 있지요? 네, ABS 시스템에 이상이 있다고 하니 빨리 점검을 받으십시오.참고로 ABS를 오토브레이크 시스템의 약자로 아시는 분들도 있으나 ABS는 Antilockbrake system의 약자로 급제동 시 바퀴잠김을 방지하는 시스템의 약자로 ABS에 이상이 생길 경우 급제동 시 바퀴가 잠겨 미끄러질 위험이 있으니 점검받으세요.
위에 그림은 자동차가 미끄러지는 그림이죠? 이는 차체자세제어장치 ESC시스템의 작동여부를 알려주는 것으로 만약 계속 점등된다면 ESC 차체자세제어장치 시스템에 이상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오렌지 색 마지막에 조사하는 것은 워셔액이 부족한 경우에 점등하지만, 이것은 차종에 따라서는 아닐 수도 있고 워셔액을 보충해 주십시오.
자동차 계기판 경고등의 종류 표시가 이렇게 많고 일반인들이 다 기억하기는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포스팅 도입부에 색상별로 위험도를 판단해서 주행할지, 또 지금 제 차에 심각한 고장이 있었는지 판단하면 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빨간색은 심각한 고장 또는 운전자가 위험하다는 신호로 주황색에는 이상이 있으므로 주의해서 운전하고 빠른 시일 내에 점검을 받아야 한다.
녹색은 현재 어떤 기능이 있는지 표시하는 이렇게 기억을 하시고 자세한 내용은 정비소에서 점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